| | | ⓒ 황성신문 | 남성의 시각에서 예전에 비해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위상이 격상됐다면서 양성 평등시대가 도래했다고 인식하고 있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 과거와 비교해 여성의 사회적 인식과 지위 등에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곳곳에서 성인지 감수성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
그중에서도 같은 일을 하더라도 여성 근로자와 남성 근로자간의 임금 격차 문제가 손꼽히고 있다.
남녀 간의 임금 격차가 30%를 넘는 등 성별 간 임금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역별·산업별 노동시장 분석을 통한 미래 유망직종 직업교육훈련 분야 개발’ 보고서에 의하면 남성이 250만 원을 받을 때 여성은 161만6000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고용률이 남성에 비해 낮은 가운데 임금 격차 해소방안도 적극 추진돼야 한다.
남녀 간의 임금 격차는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형성된 구태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여성은 책임감이 부족하고 임신과 출산 등으로 언제든지 퇴사할 수 있는 존재로 인식됐던 과거에서 큰 변화가 없는 것은 아닌지 곱씹어볼 대목이다.
임금 격차 문제는 직장 내 승진 문제와 자연스럽게 연계된다.
여성의 고위직 비율이 남성과 비교해 현저하게 낮은 것이 현실이고, 여전히 갈 길이 먼 상황이다.
한국의 저출산은 전 세계적으로 그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로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상황에서 저출산의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해 임신과 출산 등에만 초점을 맞춘 근시안적인 대책은 지양해야 한다.
일터에서부터 동일한 대우를 받으면서 임신과 출산에 따른 불이익이 없도록 제도적 장치를 좀더 보완하고, 강화해야 할 것이다.
여성의 문제로만 봐서는 안된다. 출산을 장려할 수 없는 사회적 인식과 제도적 미비함은 지방소멸을 더욱 앞당길 뿐이다.
양질의 일자리에 여성 고용률을 높이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확립해야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는 동시에 지방소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인구의 절반은 여성이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감내했던 시대는 구시대적인 인식일 뿐이다.
남성 중심의 사회가 아닌 인간중심의 사회로 우리 모두의 인식부터 변해야 한다.
|